본문 바로가기
일본어

【일본어형용사 완전 정복】い형용사 vs な형용사 차이부터 예문·활용까지 총정리!

by 에비스. 2025. 3. 30.

 

일본어 형용사란? 기초 개념 쉽게 이해하기

일본어를 공부하면서 명사(사람, 장소, 사물 이름)와 동사(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만큼이나 중요한 품사가 바로 형용사입니다. 그렇다면 일본어 형용사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단어"**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 *"크다, 작다, 예쁘다, 좋다"*처럼 사물의 특징을 설명해 주는 단어들이 바로 형용사입니다. 일본어에서도 이러한 형용사를 사용해 사물이나 사람의 크기, 색깔, 성격, 상태 등을 묘사할 수 있습니다.

 

형용사의 역할은 두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여 그 명사가 어떤 상태인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예쁜 꽃"*에서 *"예쁜"*이 꽃이 어떤 상태인지를 알려주는 것처럼, 일본어에서도 "きれいな 花(꽃)", *"大きい 家(집)"*처럼 형용사가 뒤에 오는 명사를 꾸며 줍니다. 둘째, 형용사는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하여 주어의 상태를 서술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늘이 푸르다"*에서 *"푸르다"*가 하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처럼, 일본어로 *"空が青い"*라고 하면 *"하늘이 파랗다"*는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이처럼 일본어에서 형용사는 명사와 결합하여 그 명사를 꾸며주거나, 문장의 끝에 와서 주체의 특징을 설명하는 데 쓰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일본어 형용사가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활용(변화)**을 한다는 것입니다. 영어의 형용사와 달리 일본어 형용사는 상황에 따라 형태가 변해 과거형이나 부정형을 만들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비싸다"*는 일본어 형용사 *"高い(たかい)"*인데, "비쌌다", *"비싸지 않다"*와 같이 형태를 바꿀 수 있습니다. 이는 형용사가 동사처럼 활용된다는 뜻으로, 일본어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여기에서 꼭 알아둘 것은 일본어 형용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는 점입니다. 바로 **"い형용사"**와 **"な형용사"**인데요. 이 두 가지 형용사는 형태와 활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일본어 형용사의 두 종류인 い형용사와 な형용사의 개념과 차이를 자세히 알아보고, 각각의 활용 규칙과 예문까지 폭넓게 살펴보겠습니다. 일본어 형용사를 완벽하게 정복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 테니, 끝까지 함께 해주세요!

 

일본어 형용사의 두 종류, い형용사와 な형용사 알아보기

일본어 형용사는 크게 두 갈래로 분류됩니다. 바로 い형용사な형용사인데요. 이것은 일본어만의 독특한 구분으로, 형용사 어미(끝부분)의 형태에 따라 이름 붙여졌습니다.

い형용사는 말 그대로 일본어 원형이 'い'로 끝나는 형용사를 말하며, な형용사명사를 수식할 때 '〜な'를 붙이는 형용사를 의미합니다. 이 분류에 따라 형용사의 활용법과 문장에서의 쓰임새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본어 형용사를 제대로 쓰려면 두 종류를 확실히 구분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い형용사는 한국어의 *"~다"*로 끝나는 형용사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크다"*는 일본어로 *"大きい(おおきい)"*라는 い형용사이고, *"춥다"*는 *"寒い(さむい)"*라는 い형용사입니다. い형용사는 그 자체만으로도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있고, 명사 앞에 바로 붙어 *"큰 집(大きい家)"*처럼 그냥 붙여서 명사를 꾸며줄 수 있습니다.

 

한편, な형용사는 한국어의 *"~하다"*로 끝나는 형용사와 비슷한 느낌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 *"조용하다"*는 일본어 *"静かだ(しずかだ)"*에 해당하는데, 이것이 바로 な형용사입니다. な형용사는 문장에서 사용할 때 **뒤에 'だ'나 'です'**를 붙여 서술어로 삼거나, 명사 앞에서는 *"静かな 部屋(조용한 방)"*처럼 'な'를 중간에 넣어 명사를 수식합니다.

 

쉽게 말해, い형용사는 일본어 단어가 い로 끝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고, な형용사는 명사와 결합할 때 な를 사이에 넣는 형용사라서 그렇게 부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친절한 사람"*을 일본어로 하면 *"親切な 人"*이 되는데, *"親切(しんせつ)"*은 な형용사입니다. 반면 *"재미있는 책"*은 일본어로 *"面白い 本"*이라고 하는데, *"面白い(おもしろい)"*은 い형용사이지요. 이렇게 일본어 형용사는 형태에 따라 두 부류로 나뉘며, 각 부류에 속한 단어들은 활용(어미 변화) 규칙도 다르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새로운 형용사 단어를 배울 때는 그것이 い형용사인지 な형용사인지 함께 익혀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い형용사 완벽 분석: 정의부터 활용 규칙까지

이제 일본어 형용사의 첫 번째 유형인 い형용사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い형용사기본 형태(사전형)가 ひらがな 'い'로 끝나는 일본어 형용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빠르다"*는 일본어로 "速い(はやい)", "귀엽다"는 "かわいい"처럼 끝에 'い'가 붙어 있습니다. 이러한 い형용사는 일본어 문장에서 '~い' 형태 그대로 사용되어 주어의 상태를 서술할 수 있으며("この映画はおもしろい。" / 이 영화는 재미있다), 명사 앞에도 그대로 붙여 꾸며줄 수 있습니다("おもしろい映画" / 재미있는 영화).

일본어 い형용사는 활용(변화)할 때 어미 'い' 부분이 바뀌게 됩니다. **현재형(원형)**에서는 어미를 바꾸지 않고 그대로 쓰면 되고, 부정형을 만들 때는 어미 'い'를 **'くない'**로 바꾸어 주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과거형은 'い'를 **'かった'**로, 과거 부정형은 'い'를 **'くなかった'**로 바꿔주면 됩니다. 아래 표는 い형용사의 기본 활용형을 정리한 것입니다:

활용 형태 일본어(높다) 해석
현재형 (긍정) 高い (たかい) 높다
현재형 (부정) 高くない (たかくない) 높지 않다
과거형 (긍정) 高かった (たかかった) 높았다
과거형 (부정) 高くなかった (たかくなかった) 높지 않았다

 

위의 예시에서 보듯이, *"高い"*라는 い형용사는 "高くない", "高かった", *"高くなかった"*처럼 형태가 변합니다. 이러한 규칙은 모든 い형용사에 적용되므로, い형용사를 배울 때 어미 'い'를 적절히 변형하여 부정이나 과거 표현을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おいしい(맛있다)"*의 부정형은 "おいしくない(맛있지 않다)", 과거형은 *"おいしかった(맛있었다)"*가 됩니다.

 

또한 정중한 표현(존댓말)에서는 い형용사 뒤에 *"です"*를 붙여 말합니다. 예를 들어 *"寒い"*는 "寒いです"(춥습니다)처럼 말이죠. 부정형의 경우 "寒くないです", 과거형은 *"寒かったです"*처럼 です를 붙여 말하며, 때로는 *"寒くありません"*처럼 말하기도 합니다. 중요한 점은 い형용사는 절대로 뒤에 "だ"를 붙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일본어 초보자가 흔히 *"かわいいだ"*처럼 말하는 실수를 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い형용사는 그 자체로 완전한 서술어가 될 수 있으므로, 평서문에서 *"〜だ"*를 붙일 필요가 없습니다.

 

참고로 대부분의 い형용사는 히라가나 'い'로 끝나지만, 아주 일부 예외적으로 'い'로 끝나도 な형용사인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きれい"(예쁘다/깨끗하다)라는 단어는 끝이 'い'로 끝나지만 な형용사입니다. 이런 예외는 많지 않으므로 기본적으로는 '끝이 い -> 이형용사' 공식을 기억하면 되겠습니다 (특정 예외는 뒤에서 자세히 다룹니다). 그리고 い형용사 중에서는 *"좋다"*에 해당하는 **"いい"**처럼 특별한 활용을 하는 단어도 있습니다. *"いい"*는 원형이 *"良い(よい)"*이기 때문에 부정형이 "よくない", 과거형이 *"よかった"*로 변형됩니다. 이러한 예외 사례를 제외하면, い형용사는 위의 규칙대로 현재형, 부정형, 과거형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な형용사 총정리: 개념, 특징 및 꼭 알아야 할 활용법

다음은 두 번째 유형인 な형용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な형용사명사 앞에서 '〜な' 형태로 쓰이는 형용사를 말하며, 활용 및 쓰임새 면에서 명사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일본어 문법 용어로 な형용사는 *"형용동사"*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명사처럼 활용되지만 의미적으로는 형용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な형용사는 단어 자체가 하나의 명사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명사를 꾸밀 때 *나(な)*를 붙여 형용사처럼 쓰고, 서술어로 쓸 때는 마치 명사+이다처럼 취급합니다.

 

な형용사의 대표적인 예로 *"静か(しずか)"*를 들어볼까요? *"静か"*는 *"조용함"*이라는 명사에 가까운 의미를 갖고 있지만, 여기에 *"だ"*를 붙인 *"静かだ"*는 *"조용하다"*라는 형용사 서술이 됩니다. **현재형(긍정)**으로는 "静かだ"(조용하다) 혹은 정중형 "静かです"(조용합니다)로 쓰이고, 명사 앞에서는 "静かな 音楽"(조용한 음악)처럼 な를 사이에 넣어 사용합니다. 부정형은 "静かではない" 혹은 회화체로 "静かじゃない"(조용하지 않다)가 되며, 과거형은 "静かだった"(조용했다), 과거 부정형은 "静かじゃなかった"(조용하지 않았다)로 활용됩니다. 아래 표는 *"静か"*의 활용형을 예로 든 な형용사의 활용 요약입니다.

활용 형태 일본어(조용하다) 해석
현재형 (긍정) 静かだ ・ 静かです 조용하다 ・ 조용합니다
현재형 (부정) 静かじゃない (=静かではない) 조용하지 않다
과거형 (긍정) 静かだった ・ 静かでした 조용했다 ・ 조용했습니다
과거형 (부정) 静かじゃなかった (=静かではなかった) 조용하지 않았다

※ 참고: 위 표에서 *정중형 표현(〜です/〜でした)*도 함께 표기했으며, 회화체에서는 "〜じゃない", *"〜じゃなかった"*를 주로 씁니다.

 

이처럼 な형용사는 명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활용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学生だ"(학생이다)의 부정형이 "学生じゃない", 과거형이 *"学生だった"*인 것과 똑같이, "静かだ" 역시 "静かじゃない", *"静かだった"*처럼 활용되지요. 또한 な형용사는 문장에서 단독으로 서술어 역할을 할 때 반드시 'だ'(또는 정중형 "です")를 붙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彼は親切だ"(그는 친절하다), "ここは静かです"(여기는 조용합니다)처럼 말합니다. 명사를 수식할 때는 어간 뒤에 *"な"*만 붙이면 되므로, "親切な 사람", *"きれいな 景色"*처럼 표현합니다.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활용법으로, な형용사를 연결하거나 부사로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い형용사가 서로 연결될 때 "〜くて" 형태로 "安くておいしい" (싸고 맛있다)처럼 쓰이듯이, な형용사는 "〜で" 형태로 연결합니다. 예를 들어 "ここは静かで、綺麗です" (여기는 조용하고 깨끗합니다)처럼 *"〜で"*로 이어서 두 가지 성질을 한꺼번에 말할 수 있습니다. 또한 な형용사를 부사처럼 써서 동사를 꾸밀 때에는 끝에 *"〜に"*를 붙입니다. "きれいに 掃除する" (깨끗하게 청소하다), "静かに 話す" (조용히 이야기하다)처럼 활용하면 됩니다. 이러한 활용법까지 익혀 둔다면, な형용사를 상황에 맞게 자유롭게 쓸 수 있을 것입니다.

 

초보자가 가장 헷갈리는 い형용사 vs な형용사 구분법

 

일본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면 い형용사와 な형용사의 구분이 꽤 헷갈릴 수 있습니다. 어떤 단어는 'い'로 끝나고, 어떤 단어는 그렇지 않은데 모두 형용사 역할을 하기 때문이죠. 초보자가 이 두 종류를 혼동하지 않도록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끝이 'い'로 끝나는지 확인하기: 가장 쉬운 구분법은 그 단어의 끝이 'い'로 끝나는지 보는 것입니다. 보통 *'~い'*로 끝나면 い형용사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大きい(크다)", "暑い(덥다)", "新しい(새롭다)"*처럼 끝이 -い로 끝나는 단어들은 모두 い형용사입니다. 반대로 단어가 'い'로 끝나지 않으면 대부분 な형용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静か(조용함)", "便利(편리)", "元気(원기/건강)" 등은 끝에 い가 없으므로 な형용사로 쓰이죠. 다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예외적으로 'い'로 끝나지만 な형용사인 단어들: 위의 규칙에 몇 가지 예외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きれい"*와 *"きらい"입니다. "きれい"(깨끗하다/예쁘다)"きらい"(싫어하다/미워하다)은 발음상 끝이 '이' 소리로 끝나지만, 둘 다 な형용사입니다. 이런 단어들은 일본어를 막 배우는 분들이 자칫 い형용사로 오해하기 쉬우므로 외워두는 수밖에 없습니다. 참고로 이 단어들은 원래 한자로 "綺麗", *"嫌い"*처럼 쓰이며, 'い'가 단어 어근의 일부이기 때문에 활용 시 "きれいな〜", "きれいだ", "きらいな〜", "きらいだ" 형태로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겉보기만 보고 판단하기보다 교재나 사전에서 (な형) 표시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확실합니다.

 

3. 단어의 어원과 구조 살피기: 경험상 일본어 고유어로 된 형용사들은 い형용사가 많고, 한자어로 된 형용사는 な형용사가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大きい, 暑い, 明るい" 등 하나의 한자에 い음이 붙은 단어들은 い형용사인 반면, *"便利(편리), 安全(안전), 可能(가능)"*처럼 두 개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진 추상적인 형용사는 대개 *"便利な, 安全な, 可能な"*처럼 な형용사로 쓰입니다. 또한 영어 등 외래어에서 온 형용사 역시 *"ハンサムな(핸섬한)", "スマートな(스마트한)"*처럼 거의 모두 な형용사입니다. 물론 이러한 경향은 어디까지나 참고일 뿐,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니 예외도 존재합니다.

 

4. 명사 수식 형태로 판단하기: 어떤 형용사인지 헷갈린다면 그 단어로 명사를 꾸며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静か?部屋"*처럼 떠올려 보았을 때, *"静かな部屋"*가 자연스러우면 *"静か"*는 な형용사입니다. 반면 *"明るい?部屋"*라고 생각해 보면 *"明るい部屋"*로 바로 이어지므로 *"明るい"*는 い형용사라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이처럼 해당 단어를 명사 앞에 붙여서 입에 소리 내어 말해 보면, 중간에 *'な'*가 필요한지 아닌지 감으로 느껴볼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새 단어를 배울 때마다 품사 표기를 함께 익히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확실한 구분법입니다. 일본어 사전이나 단어장에는 해당 형용사가 い형용사인지 な형용사인지 표시되어 있으니, 애매할 때는 꼭 확인하도록 합니다. 처음에는 외워야 할 것이 많지만, 자주 쓰이는 일본어 형용사들은 반복해서 공부하다 보면 점차 몸에 배게 되어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될 거예요.

 

일상회화에서 자주 쓰는 い형용사 예문 모음

이번에는 일본어 일상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い형용사들을 골라 간단한 예문을 살펴보겠습니다. 각 예문 옆에는 한국어 번역을 달았으니, 일본어 표현과 비교하며 참고하세요.

  • 예문 1. 今日は暑いね。 (오늘은 덥네.)
    *→ 날씨가 더워서 상대방의 공감을 구하거나 혼잣말로 감탄하듯 말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끝에 "ね"를 붙여 **"덥지?"*처럼 상대방도 덥다고 느낀다는 뉘앙스를 풍깁니다.
  • 예문 2. このラーメンは本当においしい! (이 라면은 정말 맛있어!)
    *→ 친구들과 음식 맛에 대해 이야기할 때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おいしい"*는 "맛있다"는 뜻으로, 감탄할 때 많이 사용하지요.
  • 예문 3. あの子犬はとても可愛いです。 (저 강아지는 너무 귀여워요.)
    *→ "可愛い"(かわいい)는 "귀엽다"는 뜻으로, 일상 속에서 사람이나 동물, 물건이 귀여울 때 자주 사용하는 말입니다. 여기서는 정중하게 말하고자 *"です"*를 붙여 **"귀여워요"*라고 했습니다.
  • 예문 4. このスマホは高くて買えない。 (이 스마트폰은 비싸서 못 사.)
    *→ "高い"(たかい, 비싸다)라는 い형용사에 **"〜くて"**를 붙여 **"비싸서"*라는 원인/이유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어서 "買えない"(살 수 없다)라는 동사가 와서, "비싸서 (나는) 살 수 없다"는 의미의 문장이 완성됩니다.
  • 예문 5. 昨日の映画は面白かったよ。 (어제 본 영화 재미있었어.)
    *→ "面白い"(おもしろい, 재미있다)의 과거형 **"面白かった"**를 사용하여 "재미있었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문장 끝에 붙은 *"よ"는 화자가 정보를 전달하거나 강조할 때 쓰는 말투예요.
  • 예문 6. この本はあまり面白くないね。 (이 책은 별로 재미없네.)
    *→ **"面白くない"**는 "面白い"의 부정형으로 "재미없다"는 뜻입니다. "あまり〜ない" (암마리 ~나이) 형태는 "별로 ~하지 않다"는 의미로, **"あまり面白くない"*는 "별로 재미있지 않다"고 말할 때 쓰입니다. 역시 끝에 "ね"를 붙여, 듣는 이의 동의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위 예문들을 통해 い형용사의 쓰임을 감잡으셨나요? 일상회화에서는 이처럼 い형용사가 그대로 혹은 변형된 형태(과거형, 부정형 등)로 활용되어 다양한 뜻을 전달합니다. 특히 감탄하거나 느낌을 표현할 때 매우 자주 쓰이므로, 여러 상황에서 직접 말해 보면서 익숙해지면 좋겠습니다.

 

일상회화에서 자주 쓰는 な형용사 예문 모음

이어서,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な형용사 예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앞서 본 い형용사와 마찬가지로, 자주 쓰이는 な형용사들을 문장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볼까요?

  • 예문 1. 私はコーヒーが好きです。 (저는 커피를 좋아합니다.)
    *→ "好き"(すき)는 "좋아하다"는 뜻의 な형용사입니다. 한국어로는 "좋아합니다"처럼 동사로 표현하지만, 일본어에서는 형용사여서 "〜が好きです" 형태로 사용합니다. 이때 좋아하는 대상에는 조사를 *"を"*가 아니라 *"が"를 붙인다는 점도 유의하세요.
  • 예문 2. 彼は有名な歌手です。 (그는 유명한 가수입니다.)
    *→ "有名"(ゆうめい, 유명)은 な형용사로, 뒤에 *"な"*를 붙여 **"유명한 ~"**처럼 명사를 수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有名な歌手"*라고 해서 "유명한 가수"라는 의미를 만들었고, *"です"로 끝내 정중하게 표현했습니다.
  • 예문 3. この辺は夜とても静かですよ。 (이 근처는 밤에 아주 조용해요.)
    *→ "静か"(しずか, 조용함/조용하다)는 な형용사로, "静かだ" 또는 "静かです" 형태로 문장을 종결합니다. *"この辺(このへん)は夜静かです"*에 강조와 부드러운 느낌을 더해 *"静かですよ"*라고 했습니다. 일상 대화에서 **"〜ですよ"*는 상대방에게 새로운 정보를 알려주거나 확인시켜 줄 때 자주 쓰입니다.
  • 예문 4. スマホは本当に便利だね。 (스마트폰은 정말 편리하지.)
    *→ "便利"(べんり, 편리함/편리하다)는 일상에서 흔히 쓰는 な형용사입니다. 문장에서는 *"便利だね"*라고 해서 친근한 어조로 "편리하지, 편리하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여기서도 な형용사 *"便利"*를 서술형으로 쓸 때 *"だ"를 붙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예문 5. 大丈夫ですか? (괜찮아요?)
    *→ "大丈夫"(だいじょうぶ, 괜찮음/괜찮다)는 상태나 안부를 물을 때 매우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大丈夫ですか?"는 상대방이 문제없이 괜찮은지 물어볼 때 쓰며, 이에 대한 대답으로 "はい、大丈夫です"(네, 괜찮습니다)처럼 응답할 수 있습니다.
  • 예문 6. この部屋はあまりきれいじゃないね。 (이 방은 별로 깨끗하지 않네.)
    *→ "きれい"(깨끗함/예쁨)은 な형용사이지만, 부정형은 *"きれいじゃない"*로 표현합니다. 여기서는 *"あまり(그다지)〜ない"*와 함께 쓰여 "그다지 깨끗하지 않다"는 뜻이 됩니다. *"〜ね"를 덧붙여, 듣는 이에게 동의하거나 느낀 바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위 예문들처럼, な형용사도 다양한 형태로 실생활에서 활용됩니다. 명사를 수식할 때 "〜な" 형태를 쓰는 것과, 서술할 때 "だ" 또는 *"です"*를 붙이는 점을 항상 기억하면서, 직접 문장을 만들어 연습해 보세요. 어느새 일본어 형용사 구사가 한층 자연스러워져 있을 거예요.

 

꼭 외워야 할 일본어 필수 형용사 BEST 30

꼭 알아두어야 할 필수 일본어 형용사 30개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고 기본 어휘로 꼽히는 형용사들이니 확실히 외워 두면 좋아요. 각 단어 옆에는 한국어 뜻과 어떤 형용사 유형(い형용사 또는 な형용사)인지 표시했습니다.

  1. 大きい (おおきい) – 크다 (い형용사)
  2. 小さい (ちいさい) – 작다 (い형용사)
  3. 高い (たかい) – 높다; (가격이) 비싸다 (い형용사)
  4. 安い (やすい) – 싸다 (い형용사)
  5. 新しい (あたらしい) – 새롭다 (い형용사)
  6. 古い (ふるい) – 오래되었다, 낡았다 (い형용사)
  7. 良い/いい (よい/いい) – 좋다 (い형용사)
  8. 悪い (わるい) – 나쁘다 (い형용사)
  9. おいしい (おいしい) – 맛있다 (い형용사)
  10. まずい (まずい) – 맛없다 (い형용사)
  11. 楽しい (たのしい) – 즐겁다 (い형용사)
  12. 面白い (おもしろい) – 재미있다 (い형용사)
  13. つまらない (つまらない) – 지루하다, 재미없다 (い형용사)
  14. 難しい (むずかしい) – 어렵다 (い형용사)
  15. 優しい (やさしい) – 상냥하다, 친절하다 (い형용사)
  16. 暑い (あつい) – 덥다 (い형용사)
  17. 寒い (さむい) – 춥다 (い형용사)
  18. 可愛い (かわいい) – 귀엽다 (い형용사)
  19. 忙しい (いそがしい) – 바쁘다 (い형용사)
  20. すごい (すごい) – 굉장하다, 대단하다 (い형용사)
  21. きれい (きれい) – 예쁘다, 깨끗하다 (な형용사)
  22. 有名 (ゆうめい) – 유명하다 (な형용사)
  23. 静か (しずか) – 조용하다 (な형용사)
  24. 便利 (べんり) – 편리하다 (な형용사)
  25. 元気 (げんき) – 건강하다, 활기차다 (な형용사)
  26. 好き (すき) – 좋아하다 (な형용사)
  27. 嫌い (きらい) – 싫어하다 (な형용사)
  28. 大丈夫 (だいじょうぶ) – 괜찮다 (な형용사)
  29. 大切 (たいせつ) – 소중하다, 중요하다 (な형용사)
  30. 簡単 (かんたん) – 쉽다, 간단하다 (な형용사)

위 30개의 형容사는 일본어 학습자라면 꼭 익혀둘 가치가 있는 단어들입니다. 각 단어의 의미뿐만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 자주 쓰이는지도 함께 공부해 보세요. 예를 들어 **"おいしい"**와 **"まずい"**는 맛 표현, **"暑い"**와 **"寒い"**는 날씨 표현, **"好き"**와 **"嫌い"**는 취향 표현처럼 짝을 이루는 단어들도 많습니다. 이런 연관 단어들을 묶어서 외우면 더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습니다.

 

일본어 형용사 부정형과 과거형 활용 쉽게 마스터하기

 

형용사의 **부정형(~하지 않다)**과 **과거형(~했다)**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으면 표현의 폭이 넓어집니다. 앞서 い형용사와 な형용사의 활용 규칙을 배웠는데요, 여기에서 부정형과 과거형을 한꺼번에 정리해 쉽게 마스터해 봅시다. 사실 규칙만 알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い형용사의 경우, 어미 'い'만 적절히 바꿔주면 모든 활용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한편 な형용사는 명사처럼 취급하여 '이다/아니다' 형태를 활용하면 되지요. 아래 표를 보면 각각의 형태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비교할 수 있습니다:

활용 형태 い형용사 예시 (高い의 활용) な형용사 예시 (静かだ의 활용)

현재형 (원형) 高い (たかい) 높다 静かだ (しずかだ) 조용하다
현재 부정형 高くない 높지 않다 静かじゃない 조용하지 않다
과거형 高かった 높았다 静かだった 조용했다
과거 부정형 高くなかった 높지 않았다 静かじゃなかった 조용하지 않았다

 

보시다시피 い형용사는 "-くない", "-かった", "-くなかった"처럼 어미 'い'가 'く' 또는 'かった'로 변형되고, な형용사는 "-じゃない", "-だった", "-じゃなかった"처럼 'だ' 부분이 변화하여 부정이나 과거 표현을 합니다. 예를 들어 い형용사 "早い"(이르다/빠르다)의 부정형은 *"早くない"*(이르지 않다), 과거형은 *"早かった"*(빨랐다), 과거 부정형은 "早くなかった"(이르지 않았다)가 되며, な형용사 "便利だ"(편리하다)는 부정형이 "便利じゃない"(편리하지 않다), 과거형이 "便利だった"(편리했다), 과거 부정형이 "便利じゃなかった"(편리하지 않았다)로 활용됩니다.

 

정중한 표현으로 말할 때는 이 형태에 *"です/でした"*를 붙여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高くないです"(높지 않아요), "高かったです"(높았어요), "静かじゃなかったです"(조용하지 않았어요)처럼 말이죠. 또는 *"静か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처럼 더욱 격식을 차린 부정 과거형도 가능합니다.

 

이런 활용 변화를 손에 익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실제로 여러 형용사에 적용해 보는 것입니다. 앞서 외워둔 형용사 BEST 30 리스트를 활용하여, 각각의 단어를 부정형과 과거형으로 바꿔보세요. 예를 "おいしい" -> "おいしくない", "おいしかった", "おいしくなかった" 처럼 말이죠. 다양한 형용사로 직접 연습하다 보면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형용사의 활용형이 입에 붙을 것입니다.

 

일본어 형용사, 실제 일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표현 총정리

일본어 원어민들이 형용사를 사용해 만드는 대표적인 표현들을 알아볼까요? 형용사 하나만 알면 끝이 아니라, 다른 말들과 조합되어 자주 쓰이는 패턴을 익혀두면 더욱 자연스러운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흔한 표현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とても / すごく / めっちゃ」 + 형용사 – 정도를 강조하여 *"매우 ~", "엄청 ~", "완전 ~"*의 뜻을 만듭니다. とても는 비교적 공손한 말투, すごく은 일상 회화체, めっちゃ는 젊은층의 속어입니다. 예: 「このケーキ、すごくおいしい!」 (이 케이크 정말 맛있어!)
  • 「あまり / 全然」 + 형용사 부정형 – "그다지 ~않다", *"전혀 ~않다"*의 의미로, 부정형과 함께 쓰입니다. あまり는 뒤에 *"~ない"*를 동반해 "별로 ~하지 않다", *全然(ぜんぜん)*은 *"~ない"*와 함께 *"전혀 ~하지 않다"*를 나타내지요. 예: 「あの映画は全然面白くなかった。」 (그 영화는 전혀 재미없었어.)
  • 형용사 + 「ね / よ / なあ」 – 형용사 문장 끝에 ね, よ, なあ 같은 종조사를 붙여 말하는 습관도 실제 회화에서 많이 보입니다. *「〜ね」*는 *"...~죠/네"*처럼 동의를 구하거나 감탄을 공유할 때, *「〜よ」*는 *"...~해요/야"*처럼 단정을 내려 알려줄 때, *「〜なあ」*는 혼잣말로 감탄할 때 쓰입니다. 예: 「今日も暑いね。」 (오늘도 덥네.), 「ここは本当に静かだなあ。」 (여긴 정말 조용하구나.)
  • 형용사 연결형 「〜くて / 〜で」 – 형용사를 나열하거나 이유를 연결할 때 *"~하고", "~해서"*의 뜻으로 씁니다. い형용사는 "〜くて", な형용사는 *"〜で"*로 연결합니다. 예: 「安くておいしいレストラン」 (싸고 맛있는 음식점), 「彼女は親切で優しい人です」 (그녀는 친절하고 상냥한 사람이에요).
  • 형용사 어간 + 「〜そう」 – "~해 보이다", *"~일 것 같다"*의 의미를 만들어, 눈으로 보이는 인상이나 추측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좋은 뜻일 땐 그대로, 나쁜 뜻일 땐 어간 뒤에 *"〜さ"*를 붙여 구분합니다. 예: 「おいしそう!」 (맛있어 보인다!), 「この天気では明日は寒そうだ。」 (이 날씨로 보아 내일은 추울 것 같다.), 「この魚はまずそうだ。」 (이 생선 맛없어 보인다.)
  • 형용사 어간 + 「〜すぎる」 – *"너무 ~하다"*라는 뜻으로, 형용사의 정도가 지나침을 나타냅니다. 예: 「この靴は小さすぎる。」 (이 신발은 너무 작아.), 「最近忙しすぎて疲れた。」 (요즘 너무 바빠서 피곤해.)
  • 「一番」 + 형용사 – "가장 ~", 최상급 표현입니다. 예: 「冬が一番寒い季節です。」 (겨울이 가장 추운 계절입니다.), 「田中さんが一番親切ですね。」 (다나카상이 가장 친절하네요.)
  • 형용사 + 「〜く/〜に」 + なる – *"~해지다"*라는 변화 표현입니다. い형용사는 "〜くなる", な형용사는 "〜になる" 형태로 써서, 어떤 상태로 변함을 나타냅니다. 예: 「暖かくなりましたね。」 (따뜻해졌네요.), 「部屋がきれいになった。」 (방이 깨끗해졌어.)

이러한 표현들을 익혀 두면, 일본어 형용사를 훨씬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일본인들은 「本当に?」, 「全然平気」, 「めっちゃかわいい!」 등 형용사를 섞은 다양한 표현을 쓰므로, 드라마나 애니메이션 대사를 들어보며 어떻게 형용사가 응용되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주의해야 할 일본어 형용사 예외 단어 및 표현 모음

마지막으로, 일본어 형용사에서 예외적으로 쓰이는 단어들이나 주의해야 할 표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규칙을 벗어나거나 특별한 활용을 가지는 경우이므로, 따로 기억해 두면 좋습니다.

  • いい (良い) – *"좋다"*를 뜻하는 형용사로, 원래 형태는 *"良い(よい)"*입니다. 회화에서는 *"いい"*라고 많이 하지만 활용형은 옛 형태인 *"よい"*를 기준으로 합니다. 즉, 부정형이 "よくない", 과거형이 "よかった", 과거부정형이 *"よくなかった"*로 변하지요. "いい" 자체는 규칙대로라면 *"いくない"*가 되어야 할 것 같지만 그런 형태는 없으므로 주의하세요.
  • かっこいい – *"멋있다"*를 의미하는 구어체 형용사로, *"格好(かっこう)"*라는 명사에 *"いい"*가 붙어 생긴 말입니다. 겉모습은 *"いい"*로 끝나므로 い형용사처럼 활용하며, 특히 *"いい"*의 활용 규칙을 따라 "かっこよくない", "かっこよかった", *"かっこよくなかった"*처럼 변형됩니다. (직역하면 "좋지 않다", "좋았다" 등으로 변화)
  • きれい / きらい – 앞서도 언급했듯 "きれい(綺麗)"(깨끗하다/예쁘다)와 "きらい(嫌い)"(싫어하다/미워하다)는 な형용사입니다. 끝이 "い" 발음으로 끝나 혼동할 수 있지만, 명사를 수식할 땐 "きれいな〜", *"きらいな〜"*로 쓰이고, 서술할 땐 "きれいだ", *"きらいだ"*처럼 *"だ"*를 붙입니다. 활용형도 "きれいじゃない", *"きらいじゃなかった"*처럼 な형용사 규칙을 따르니 유의하세요.
  • 大きな / 小さな – "큰 ~", *"작은 ~"*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겉보기에는 "な형용사" 같지만 사실은 예외적인 형태입니다. *"大きな"*와 *"小さな"*는 명사 앞에서만 쓰이고 *"だ"*나 다른 활용형이 붙지 않습니다. 즉 "大きな家"(큰 집)는 말하지만 *"家は大きなだ"*처럼 쓰지 못합니다. 이 경우 서술형으로 말할 땐 일반적인 *"大きい/小さい"*를 사용하여 *"家は大きいです"*처럼 표현해야 합니다.
  • 同じ (おなじ) – *"같은"*이라는 뜻으로, 이것도 특이하게 'な'도 'い'도 붙지 않고 바로 명사를 꾸미거나 *"だ"*와 함께 서술어로 씁니다. 예를 들어 "同じ人"(같은 사람), "意見は同じだ"(의견은 같다)처럼 활용하며, "同じな" 혹은 "同じい" 형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형용사이지만 활용형이 독특한 연체사로 취급되는 경우입니다.
  • ない – *"없다"*를 의미하는 형용사로, 조금 특이한 경우입니다. "ある"(있다)의 반대말인 *"ない"*는 い형용사로 분류되어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時間がない"(시간이 없다)에서 *"ない"*가 형용사이며, 부정형은 *"なくない"*처럼 이중 부정으로 쓰지 않고, 대신 "ある" 쪽을 활용하여 *"時間がありません"*으로 표현합니다. "ないです", *"なかったです"*처럼 말하기도 하지만, 의미상으로는 동사의 부정에 가까우므로 문맥에 유의해야 합니다.

 

일본어 형용사 마스터를 위한 꿀팁과 마무리

 

일본어 형용사는 반복 숙달이 답입니다. 처음에는 い형용사, な형용사 구분부터 활용형까지 신경 쓸 것이 많아 보이지만, 꾸준히 쓰다 보면 어느새 감각적으로 익히게 될 거예요. 암기한 내용을 자주 말하고 써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형용사 노트를 만들어 틈틈이 복습하거나, 오늘 배운 형용사를 바로 대화에 적용해 보세요.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고 입에 자꾸 붙이는 것이 형용사 마스터의 지름길입니다.

또 한 가지 꿀팁은 일본어를 한국어와 연결지어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한국어에도 *"크다, 작다", "예쁘다, 깨끗하다"*처럼 형용사가 있듯, 일본어 형용사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마음가짐을 가져보세요. 이미 알고 있는 개념이라 생각하면 부담이 줄고 자신감이 붙습니다. 거기에 일본어만의 활용 규칙(예: "~くない", "~じゃない")만 덧붙여 익히면 됩니다.

지금까지 **"일본어형용사 완전 정복"**을 위해 い형용사 vs な형용사 차이부터 활용, 예문, 예외, 공부법까지 폭넓게 알아보았습니다. 처음엔 복잡해 보여도 차근차근 배우면 재미있게 느껴질 거예요. 부디 이 글이 일본어 형용사 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즐거운 일본어 학습 되세요! がんばってください! 🎌